깃&깃허브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

jjong0425 2025. 1. 8. 17:40

★이 페이지에 단어뜻을 모르면 'Git의 개념과 원리' 페이지를 먼저 살펴보자★

 

먼저, gitexample이란 폴더를 만들어 vscode로 연다.

vscode 화면

이제 이 폴더 안에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해야지 Git을 사용할 수 있다.

vscode에 terminal을 열어 GitBash에

git init

을 작성한다.

git init 명령어 실행 후

그러면 그림과 같이 gitexample폴더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긴다. -> 이제 Git 저장소가 생겼다는 의미

 

이제 git add명령어와 git commit 명령어를 연습하기 위해 gitexample 폴더 안에 ex.txt파일을 만들어 보자.

ex.txt파일생성

그림과 같이 U라는 표시가 떠있을텐데 아직 Git이 해당 파일을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제 저장소에 올리기위해 먼저 git add를 통해 스테이지에 올린다.

git add .

->전체적인 변경사항을 스테이지에 올린다

git add ex.txt

->ex.txt파일에 변경사항을 스테이지에 올린다

 

이제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변경사항이 스테이지에 올라갔다. -> 커밋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상태

 

마지막으로 Git 저장소에 올리기 위해  커밋을 해보자.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커밋메세지에는 자신이 작성할 메세지를 적으면 된다.

코드 입력

"ex파일 생성"이라는 메세지를 이용해 커밋을 완료해 보았다.

그러면 이제 Git 저장소에 저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vscode안에서도 확인해 볼 수가 있다.

-->다음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자

LIST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란?  (0) 2025.01.13
Git이란?  (0) 2025.01.09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3  (0) 2025.01.08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2  (0)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