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깃허브 5

깃허브란?

💡깃허브(Github)란→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이다.(원격저장소)→ 개발자들의 SNS라 생각하면 편하다. (서로 공유도 하고 언제 어디서나 서로 협업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깃을 사용할 때에는 코드를 하나하나 입력하면서 사용을 해야되지만, 깃허브를 웹사이트를 이용해 사용을 할 수 있어서 깃에 대한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깃허브의 장점자신의 컴퓨터인 로컬저장소와 동기화가 가능하다.예를 들어 '초보자도 따라 하는 깃' 페이지에서 연습했던 gitexample 폴더를 보면우리는 깃을 활용해서 로컬저장소에 저장하는 연습을 하였는데 이 폴더를 깃허브에 올려 웹사이트 상에서도 볼 수가 있다.그림과 같이 우리가 연습한 폴더를 웹사이트 상에서 확인할..

깃&깃허브 2025.01.13

Git이란?

💡Git이란 무엇인가?→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으로,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여러 개발자 간의 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도구이다.★버전관리란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Git의 장점으로는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하는 병렬 개발이 가능하다.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개발이 가능하다.체계적인 개발이 가능하다.Git의 전체적인 구성으로는 그림과 같다.working Directory → 작업중인 폴더staging area → commit 할 파일의 예비 저장소, 혹은 추적 대상 파일의 공간local repository → 각 유저의 컴퓨터에서 관리되고 있는 저장소remote repository →  Github ..

깃&깃허브 2025.01.09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3

이 페이지에서는 브랜치라는 개념을 다룰 것이다. 브랜치란,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렇게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브랜치다.출처: Git 공식홈페이지이 브랜치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 독립적으로 협업을 할 수 있다.그림과 같이 처음에 같이 커밋했던 브랜치는 main브랜치이다.(master 일수도 있다.)여기서 main과 별개로 다른 작업을 하고 싶으면 브랜치를 하나 생성해서 작업을 수행한다.git branch pj1이렇게 코드를 통해 pj1이라는 브랜치를 생성할 수도 있고,이렇게 vscode에서 pj1이라는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다.(참고로 처음그림에서 맨 밑에 main을 클릭하면 이와 같은 그림이 나온다)그러면 브랜치를 생성해 보자.생성을 완료했으면 그림과 같이 pj1..

깃&깃허브 2025.01.08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2

이번에는 터미널(terminal)에서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vscode 안에서 Git을 하는방법을 알아보자.먼저, 변경사항을 만들어 주기위해 ex.txt파일에 내용을 작성해본다.내용을 작성하게 되면 M(modified)로 변경된다. -> 파일이 변경되었다는 의미그림과 같이 돋보기 밑에 아이콘을 클릭해보자.그러면 이 화면이 뜨는 것을 확인해 볼수 있다.다음으로 changes에서 ex.txt파일을 보게 되면 + 버튼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버튼을 누르게 되면, Staged Changes안에 ex.txt 파일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다.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을 참고하자)이 상태는git add .git add를 하여 스테이지에 올라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제 commit이라고 작성된 파..

깃&깃허브 2025.01.08

초보자도 따라하는 깃(Git)

★이 페이지에 단어뜻을 모르면 'Git의 개념과 원리' 페이지를 먼저 살펴보자★ 먼저, gitexample이란 폴더를 만들어 vscode로 연다.이제 이 폴더 안에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해야지 Git을 사용할 수 있다.vscode에 terminal을 열어 GitBash에git init을 작성한다.그러면 그림과 같이 gitexample폴더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긴다. -> 이제 Git 저장소가 생겼다는 의미 이제 git add명령어와 git commit 명령어를 연습하기 위해 gitexample 폴더 안에 ex.txt파일을 만들어 보자.그림과 같이 U라는 표시가 떠있을텐데 아직 Git이 해당 파일을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이제 저장소에 올리기위해 먼저 git add를 통해 스..

깃&깃허브 2025.01.08
LIST